Backend/MySQL(5)
-
MySQL LIKE 연산자
✔️LIKE 란? 문자열의 패턴을 검색하는 데 사용을 합니다.우리가 '라면'이라고 검색을 하면 정확하게 라면이라는 글 또는 사전의 내용이 검색되기도 하지만동시에 '라면을 먹었다' '짜장라면' 등 라면이 들어간 다른 문자열들도 검색이 됩니다라면 = 짜장라면 은 물론 다른 단어라 검색이 안되여야 하지만LIKE 연산자를 사용하면 해당하는 단어만 있으면 검색이 됩니다 기본적인 사용법입니다SELECT * FROM 테이블 WHERE 칼럼 LIKE 'PATTERN'- 패턴에는 ( % )와 ( _ )가 사용되는데 ( % )는 '모든 문자'라는 의미이고 ( _ )는 '한 글자'라는 의미이다 실제로 사용하는 예를 보기 위해 아래 테이블을 준비했습니다NAMEPRICEAMOUNT짜장라면10004스파게티10004라면8003진..
2024.11.03 -
MySQL DATE_FORMAT 함수
✔️ date_format(날짜(컬럼), 형식)mysql이 제공해주는 날짜를 지정한 형식으로 출력하는 함수이다.바꾸고자 하는 컬럼을 첫번째 인자에 입력하고 원하는 형식을 문자열로 두번째 인자에 입력해준다. 그럼 원하는 형식으로 출력된다. 다만, 형식을 입력하는 방법엔 기호 규칙이 있다. SELECT DATE_FORMAT(칼럼명,'%Y %M %d') FROM 테이블명;✔️ 기호 규칙포맷문자설명(예시)포맷문자설명(예시)%Y년도 (2021)%m월 (01, 02, 11)%y년도 (21)%c월 (1, 8)%d일(01, 19)%M월 (January, August)%e일(1, 19)%b월(Jan, Aug)%T시간 (12:30:00)%W요일(Wednesday, friday)%r시간 (12:30:00 AM)%a요일(..
2024.10.17 -
MySQL ROUND, FLOOR, CEILING 함수
✔️ROUND 란?ROUND는 정해진 자릿수에 따라 반올림을 하는 역할을 하는 함수입니다.구하려는 소수점 자리수의 한 자리 아래의 숫자를 반올림 혹은 버림 한다.반올림 여부의 값을 0 또는 생략할 경우 반올림, 음수값일 경우 버림먼저 반올림의 의미를 알아보자.반올림이란 구하려는 자리의 한 자리 아래 숫자가 0, 1, 2, 3, 4 일 경우 버리고5, 6, 7, 8, 9 일 경우 올리는 방법을 뜻한다.ROUND 사용법ROUND(숫자(컬럼), (반올림 기준))숫자(컬럼) : 반올림할 대상 숫자반올림 기준 : 소수점 자릿 수 지정(필수 아님)지정하지 않을 경우 소수점 첫번째 자리를 사용한다.SELECT ROUND(10.349) -- 10SELECT ROUND(10.349, 1) -- 10.3SELECT RO..
2024.10.17 -
[MySQL] 함수(FUNCTION)
1. 함수란부르면 특정 동작을 해주거나 결과값을 주는 것입니다.보편적인 프로그래밍 언어면은 대부분 존재하는데 MySQL도 함수를 선언할 수 있습니다. 2. 사용법기본적인 형태는 아래와 같습니다.CREATE FUNCTION 함수명(매개변수 자료형) RETURNS 반환_자료형BEGIN SQL 쿼리문 1; SQL 쿼리문 2; RETURN 반환값END; 제곱을 처리하는 함수를 선언해봅시다.DELIMITER //CREATE FUNCTION square(a INT) RETURNS DOUBLEBEGIN RETURN a * a;END //DELIMITER ;함수에서도 BEGIN, END 사이에 구분 문자인 ';' 때문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DELIMITER 명령어를 통해 기존 구분 문자인 ';'을 '//'으로 바..
2024.05.09 -
JOIN 이란?
✔️JOIN 이란?JOIN 이란 두개 이상의 테이블을 결합하여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법이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중복되는 데이터를 피하기 위해 테이블을 분해하여 여러 테이블에 데이터를 나눠 저장하는데 그러다 원하는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는 여러 테이블을 다시 조합해야할 필요가 생긴다. 그럴때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JOIN 연산자를 사용한다. JOIN에서는 내부조인 INNER JOIN 과 외부조인 OUTER JOIN으로 나눌 수 있다. 🔔내부 조인 INNER JOIN 내부조인의 안에는 CROSS JOIN, INNER JOIN, EQUI JOIN, NON-EQUI JOIN, NATURAL JOIN 이 있다. 1️⃣ CROSS JOIN CROSS JOIN은 두 테이블을 그냥 곱한거라고 생각하면 된다. ..
2024.03.14